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패스트캠퍼스] 서비스 기획 강의, PM 완주반 : 3대 서비스 역기획부터 런칭까지, 학습후기

by 사시문 2025. 1. 9.
반응형

 

저는 24년 11월 27일부터 국비지원으로 서비스 기획 강의를 듣기 시작했습니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회사를 다녔지만, 몇년전에 아무런 공부 없이 기획자로써 던져지고 일을 시작했기에, 

 

서비스 기획을 좀 잘해보고 싶은 마음에 내일배움카드를 활용해서 국비지원 교육 강의를 들어보고자 했습니다.

 

다행이 몇년전 개발공부를 하고 싶어서 받아둔 내일배움카드가 있어서 바로 시작 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그 동안에는 더듬더듬 이전 사람이 했던 기획서를 보고 진행하고, 팀장님에게 물어보면서 어찌어찌 처리가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나름 일을 잘한다고 생각했기에 별 다른 공부가 필요할 거라고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24년 말 이직을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기획서 및 기획 내용을 찾아보니, 저는 정말 우물 안 개구리일뿐 아니라 정말 구닥다리처럼 일하고 있다는 자각을 하게 되었고, 수업을 듣기로 했습니다!

 

수업의 스케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수업은 커리큘럼 대로 잘 진행되었습니다.

 

초반에는 "제품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으로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이기 때문에 실무과 큰 연관은 없다고 느꼈습니다. 다만 제품이 말하는 바가 제가 가지고 있던 특정한 상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또한 회사가 가지고 있는 제품이 어떤 제품인지,

서비스 기획자, Project Manager, Product Manager, Product Owner 등에 대해서 배우고, 각 직무의 차이점에 대해서 배우고,

회사가 기능조직, 목적조직 등에 따라서 나뉘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제품주도형, 제품지원형으로 제품이 나뉨에 따라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실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느꼈던 부분은 Chapter 08의 가설 수립과 검증, 스토리기반 기획 영역이었습니다.

에자일 기반의 기획을 진행하면서 범위가 큰 업무를 진행할때 기능 중심의 기획보다는 스토리 중심의 기획을 하면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을 보면서 기능을 설정하고 스토리를 작성하여 인수조건을 설정한다는 것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느꼈습니다.

 

다만, 실제 반영을 하려고 하니 쉽지는 않더라구요. 계속해서 시도해봐야겠습니다.

 

6주차부터는 아예 다른 강사님이 나오셔서

본격 커머스 도메인의 내용에 대해서 강의해주셨습니다.

 

회원, 상품 도메인

가격, 주문 도메인등에 대해서 실무에서 나왔던 이야기를 주로 해주셨고

킥오프 미팅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셨습니다.

 

 

8주차에는 또 다른 강사님이셨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어떻게 기획을 하시는지 알려주셨습니다.

 

다만, 저희 회사는 데이터 기반의 업무를 하기에 초기가 쌓여있지 않아서 배운 내용을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참 난감했습니다.

다만, 해당 내용을 적용하고 나면 큰 힘이 될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파이널 프로젝트 실습이 있었습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을 정하고 해당 플랫폼에서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획안을 작성하는 실습이었습니다.

 

기획안을 처음보는 사람도 이해할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설명하고,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예시와 근거를 제시하여 논리를 만들어야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파이널 실습까지 잘 재출했습니다.

 

 

 

그 동안 들었던 국비지원 교육 중에는 솔직히 강의의 퀄리티가 떨어진다고 생각했던적도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런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좋았습니다.

 

여러분도 기획자의 길을 걸으신다면 [패스트캠퍼스] 서비스 기획 강의, PM 완주반 : 3대 서비스 역기획부터 런칭까지 강의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